본문 바로가기

공부/분자생물학

[왓슨 분자생물학] 11장 분자수준에서의 상동재조합-4

728x90

 

 

11.4 진핵생물에서의 상동재조합

- 감수분열 시 적절한 염색체 쌍의 형성과 유전체 안정성 유지에 필수. 유전자 다양성 제공.

DNA 수선이나 파손된 복제분기점 재시작에 필요

 

1. 상동재조합은 염색체 분리에 필요

- 비자매 염색분체 간의 재조합은 Dmc1에 의해 매개 된다.

- 첫 번째 감수분열 전에 재조합이 끝나야 상동염색체가 적절히 배열 및 분리

- 감수분열 재조합은 상동성을 갖는 두 염색체 사이에 교차를 일으킨다.

 

상동재조합은 염색체 분리에 필요

 

2. 이중가닥 DNA 절단

- 감수분열을 마치려면 DSB를 유발하는 Spo11 유전자가 DSB 단백질 발현이 되어야함

- Spo11 단백질 : 염기서열 선택성 없음. 여러 부위 절단. 시기특이적. 카이자리 처럼 과열부위.

티로신 잔기(OH기 있음)가 포스포디에스테르 결합을 공격. 엇갈리게 절단.

위상이성화효소와 비슷. 2량체.

 

Spo11 단백질이 이중가닥절단(DSB) 유발. 염기서열 선택성 없음

 

3. MRX 단백질의 역할

- Spo11에 생긴 DSB는 MRX-효소 복합체에 의해 DNA 가공된다. (단일가닥 생기도록)

- 5‘→3’ 방향 절단. 3‘말단의 긴 단일가닥 RNA 가공

- DNA에 결합한 Spo11 제거

MRX-효소복합체에 의해 단일가닥 형성. Dmc1, Rad51이 RecA 역할을 함

 

4. RecA 유사단백질

- Dmc1, Rad51이 RecA 역할. 가닥교환단백질의 섬유구조 대립 → 가닥침투

- Dmc1 의존적 재조합은 상동성 있는 비자매 상동염색분체에서 일어난다.

 

 

참고문헌 :  Watson. (2014). 왓슨 분자생물학(7판). (주)바이오사이언스출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