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 상동재조합 단백질 기구
- RecBCD : E. coli 경로. 핵산분해효소 역할 DSB 수선경로 → 재조합 촉진
- RecA : 가닥교환단백질 (strand exchange protein)
1. RecBCD Helicase/ 핵산분해효소
- 역할 : 재조합을 위해 절단된 DNA 분자를 가공 → 절단 DNA를 단일가닥 DNA 꼬리를 만든다
RecA 가닥교환단백질이 단일가닥 말단에 결합하도록 도움
세포 내로 들어오는 DNA 분자를 파괴할 지, 재조합할 지 결정
- 3개 단위체로 구성. DSB 위치에서 DNA 결합하여 ATP 이용하여 DNA를 따라 이동
→ DNA 풀림, 이중가닥 파괴
- RecBCD 활성은 카이자리 DNA 염기서열에 의해 조절
- RecBCD로 가공된 단일 꼬리는 재조합을 위해 RecA 단백질로 보호되어야 함 (SSB과 RecA 경쟁)
- RecBCD 가 직접적으로 RecA와 상호작용하여 SSB보다 먼저 조립
2. 카이자리는 RecBCD 조절
- 카이자리 부근에서 재조합빈도 10배 증가. 카이자리 한 쪽에서만 특이적으로 촉진
- DSB와 카이자리 사이에서는 DNA 조각이 너무 잘게 잘려 재조합 할 수 없다.
- 카이자리는 8 nt.
- E. coli 에 많이 존재 (SSB로 부터 복제됨) RecBCD 활성하면 단일가닥을 많이 만들어 재조합활성이 좋다.
- RecBCD는 외부 DNA 유입으로부터 보호
3. RecA 단백질 역할 (strand exchange protein)
- 단일가닥 DNA에 조립하여 가닥침투
- 두 염기서열 상동성을 탐색.
- 실제 염기쌍을 형성하기 위한 조건 3가지
① 두 DNA 사이 염기서열의 상동성이 있어야 함.
② 단일가닥 DNA 부분이 존재해야함.
③ 상보적 DNA 말단이 존재해야함.
- RecA 활성상태 : 단백질-DNA 섬유구조. 4가닥까지 DNA 수용 가능. 단일가닥에서 5‘→3’ 방향성 섬유 형성. 염기서열을 탐색하고 가닥교환이 일어난다.
4. RecA 섬유구조 역할
- RecA 섬유가 DNA 분자에 조립되어야한다. (5‘→3’)
- 섬유구조 내 DNA(1차 결합부) + 새 DNA 한 가닥(2차 결합부) 사이를 중매하는 역할(상동성 탐색)
- 이 위치 결합은 빠르고 약하며 RecA 섬유는 넓은 범위의 DNA 상동성을 탐색할 수 있다.
- 이음새분자(Joint molecule) : Heteroduplex + RecA가 결합된 삼중구조. 혼성 DNA(Heteroduplex)가 존재하는 이음새분자 내에서 DNA 가닥교환이 일어난다.
5. RuvAB 복합체 역할
- 홀리데이 연결부를 인지하여 가지이동을 촉진 (속도증가)
- RuvA : 홀리데이 특이적 결합단백질. RuvB를 부른다.
- RuvB : ATPase 6량체. ATP를 제공하여 빠르게 가지이동을 돕는다.
6. RuvC 역할
- 홀리데이에서 DNA 가닥을 잘라 재조합 종결 (핵산내부분해효소)
- 홀리데이에 연결된 RuvAB 복합체를 인지, DNA 특정 구조·서열 인지 (가지이동 했는지 체크)
참고문헌 : Watson. (2014). 왓슨 분자생물학(7판). (주)바이오사이언스출판
'공부 > 분자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왓슨 분자생물학] 12장 자리특이적 재조합과 전위-1 (1) | 2023.12.02 |
---|---|
[왓슨 분자생물학] 11장 분자수준에서의 상동재조합-4 (1) | 2023.12.02 |
[왓슨 분자생물학] 11장 분자수준에서의 상동재조합-2 (1) | 2023.11.29 |
[왓슨 분자생물학] 11장 분자수준에서의 상동재조합-1 (0) | 2023.11.29 |
[왓슨 분자생물학] 10장 돌연변이 발생과 DNA 수선 -3 (0) | 2023.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