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탄질률(C/N)
보리짚 72 > 볏짚 67 > 감자 29 > 낙업 25 > 쌀겨 22 > 자운영 16 > 앨팰퍼 13 > 면실박 3.2 > 콩깻묵 2.4
⦁T/R 율
- 토양함수량 감소 : T/R 율 감소
- 일사 감소 : T/R 율 증가
- 질소 시비 : T/R 율 증가
- 토양 통기 불량 : T/R 율 증가
⦁전분립이 많으면 (당↓) 기계적 견인력에 의한 원형질 파괴를 크게 하고, 내동성 저하
감온형(blT) | 감광형(bLt) | |
벼 | 조생종 | 만생종 |
콩 | 올콩(하대두) | 그루콩(추대두) |
조 | 봄조 | 그루조 |
메밀 | 여름메밀 | 가을메밀 |
- 국화과, 십자화과 장일에서 화성 유도하려면 GA 사용
- 추파맥류: 생육 초기에는 감온상 (버널리), 생육 후기에는 감광상 (장일)
- 딸기 : 생육 초기에는 단일, 생육 후기에는 장일
- 양상추 : 600~700nm 범위 적색광에서 발아 촉진
⦁벼 조식재배 시 수량 증가 : ➀ 수수 증가, ➁ 영화수 증가, ➂ 등숙률 증가
⦁초형
- 직립형 : 볏과, 글라디올러스
- 경사형 : 유채, 사탕무
- 수평형 : 오이, 강낭콩, 클로버, 해바라기
⦁큐어링 : 수확물 상처에 유상조직인 코르크층 발달시켜 병균침입 방어
- 고구마 : 30~33℃, 90~95% 습도, 4-5일, 저장 시에는 13~15℃
- 감자 : 15~20℃, 90~95% 습도, 2주, 저장 시에는 10℃
- 양파 : 30~35℃, 70~80% 습도, 5일
- 글라디올러스 : 22~27℃, 90~95% 습도, 3일
- 화곡류 : 15~20℃, 70% 습도, 1~2개월 후숙
⦁저장 조건(온도, 습도, 수분함량)
- 벼 : 15℃, 70%, 15~16%
- 고춧가루 : 10℃, 60%, 60%
- 엽근채류 : 0~4℃, 90~95%
- 과실 : 0~4℃, 80~85%
- 마늘 : 3~5℃, 65%
- 바나나 : 13℃, 85~90%
⦁ 건물 생산능력
- 상대생장률 RGR = 순동화율 NAR × 엽면적률 LAR
(일정시간 건물생산 능력)
- 작물생장률 CGR = 순동화율 NAR × 엽면적지수 LAI
(단위면적당 작물군락의 총 건물생산능력)
- 순동화율 NAR : 단위엽면적 및 단위시간의 건물생산능력
- 엽면적률 LAR : 무게에 대한 면적 (cm/g)
- 엽면적지수 LAI : 땅 면적에 대한 면적 (단위 없음)
- 엽면적기간 LAD : 일정 생육기간동안의 엽면적의 총화
- 비엽중 SLW : 단위 엽면적당 무게 (g/cm)
- 비엽면적 SLA : 단위 무게당 면적(cm/g)
'공부 > 재배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배학 암기노트 - 6 (1) | 2023.10.27 |
---|---|
재배학 암기노트 - 5 (0) | 2023.10.27 |
재배학 암기노트 - 4 (1) | 2023.10.27 |
재배학 암기노트 - 3 (0) | 2023.10.27 |
재배학 암기노트 - 1 (1) | 2023.10.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