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물생리학 암기 - 11장 작물의 발아와 휴면
11장 작물의 발아와 휴면
- 배유 : 전분, 지방 저장 (3n)
- 지방이 배유와 떡잎에 고루 분포 (뽕나무), 떡잎에 분포 (해바라기, 콩), 배유에 분포 (피마자, 목화)
- 호분층 : 단백질이 주로 분포. 콩은 떡잎에 단백질 분포. α-amylase 등 분해효소 합성. 배유로 분배
- 배반 : GA를 분비하여 호분층의 가수분해효소 활성화
- 유아 : 초엽(정아보호), 정아(지상부 생장개시)
- 유근 : 근초(하배축 밑부분), 종자근(최초 뿌리)
- 발아 시, 전분분해효소는 포도당 함량이 최고조 2일 전에 가장 높음. 휴면종자에 비해 200~300배 증가
아밀로스 분해 | 아밀로펙틴 분해 | |
α-amylase | 맥아당·포도당 | 맥아당·포도당·덱스트린 |
β-amylase | 맥아당 | 맥아당·덱스트린 |
- α-glucosidase (maltase): 맥아당(maltose)을 포도당으로 분해
- 벼가 수분이 적은 상태로 발아하면 유근 먼저 출현, 물에 잠긴 상태로 발아하면 유아 먼저 출현
- 쌍떡잎은 보통 유근 먼저 출현
배유 | 무배유 | |
지상자엽 | 피마자, 메밀, 마디풀, 양파 | 오이, 콩, 땅콩, 덩굴강낭콩 |
지하자엽 | 벼, 밀, 옥수수, 보리, 자주닭개비 | 상추, 완두, 잠두, 팥, 붉은강낭콩 |
- 배유소진기 : 배유 85% 소모. 벼본엽 4매, 밀본엽 3매, 겉보리본엽 2매 시기
- 물속 발아 못함 : 귀리, 밀, 무, 양배추, 가지, 파, 머스크메론, 메밀, 콩, 앨팰퍼, 코스모스, 과꽃
- 물속 발아 저하 : 담배, 토마토
- 물속 발아 괜춘 : 상추, 당근, 셀러리, 티머시, 켄터키블루그래스, 피튜니아
- 암발아 : 파, 양파, 가지, 수박, 호박, 수세미, 오이
- 광불감수성 : 화곡류, 옥수수, 콩
- 적색광 (660nm)에서 발아 촉진. 원적색광(730nm)에서 억제
- 시토키닌, 카이네틴은 ABA 작용 상쇄.
- 지베렐린은 광발아종자의 발아를 암조건에서도 촉진.
* 발아력 검정법
- 평균발아일수 : (∑ 발아한 종자수 × 발아일 수 ) / 총 발아수
- 평균발아속도 : 총 발아수 / 총 조사일수
- 발아세 : 중간조사일 까지 발아율
- 발아시 : 처음 발아 발생일
- 발아기 : 약 40% 발아
- 발아전 : 80% 발아
- 세포반투성 : 인디고카민 0.05% - 건전하면 무색
- 조직환원력 : ① 테트라졸륨 - 건전하면 진홍색 염색.
② 나트리움 텔루르산 1% - 건전하면 감흑색 염색.
③ 디니트로벤졸 - 건전하면 자색 염색.
- 효소활력법 : 온탕침지 - 건전하면 카탈라제 함량 증가
* 종자 휴면 유형
- 불투수성 : 울타리세포의 펙틴 관여. 꼬투리에서 꺼내면 경실화, 고온, 저습 저장하면 경실화.
경실종자는 파상법으로 휴면타파
- 기계적저항성 : 나팔꽃, 땅콩, 잡초
- 산소 불투기성 : 볏과, 도꼬마리, 맥류
- 미숙배 : 인삼, 은행나무. 층적법(=저온습윤)으로 타파
* 발아억제물질 : 블라스토콜린 (발아억제물질을 총칭)
* 휴면타파 요인
- 후숙 : 수분함량이 감소하면 휴면 소실되는 현상
- 저온습윤(층적법), 변온
- 티오요소, 에틸렌클로로하이드린, 다이니트로페놀, NaN3(소듐아자이드), NaC7H5O3(소듐살리실산), CO2, N, 에틸렌, 황산
- 지베렐린 : 땅콩, 양딸기, 명아주, 앵두, 셀러리, 양배추, 시클라멘
* 종자 수명
- 습도 : 함수량 2~3% 이하에서는 발아력 상실. 습도변화에 민감
- 온도 : 저온효과는 종자함수량 높을 때 크게 나타난다.
- O2 : 장기저장에는 O2 가 수명 단축. 종자함수량 많을 때, 혐기성 호흡은 유해물질 생성.
* 마늘의 휴면
- 저온성 월동작물이어서 여름에 인경형태로 휴면. 고온 극복
- 마늘 인경은 고온장일에서 형성. 바로 휴면 들어간다.
- 인편분화 직후부터 휴면 시작되고, 구형성 완료 후에도 휴면 지속된다.
- 한지형은 휴면이 깊어 저장성이 좋다
- 저온에서 휴면타파되고, 고온에서 휴면지속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