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분자생물학
[왓슨 분자생물학] 11장 분자수준에서의 상동재조합-2
boy님
2023. 11. 29. 01:12
728x90
11.1 상동재조합 중요포인트
1. 가닥의 침투
- DSB가 존재해야 침투발생 시작 (3‘ 말단)
- 가닥침투는 상보적 염기쌍을 안정적으로 형성하는 것 → 두 모체 DNA 사이에서 유전적 교환
- 가닥침투 촉매효소 : 가닥교환 단백질
- 이질 이중가닥을 형성하여 염기서열 차이를 지니면 염기서열 불일치
2. 홀리데이 연결부 분리
- 유전적 교환을 종결시키는 주요 단계. 2가지 방법
① 이어맞추기(Splicing) : 교차산물들의 양 옆 부위 유전자를 재배열
② 덧붙이기 산물 : 비교차 산물. 재배열 없음

3. 이중가닥 절단수선모델
- 3‘말단 꼬리를 만들어 침투하게 한다. (가공과정) 프라이머 역할 → 절단부위에 분해된 DNA 수선
- 여기에도 홀리데이 분리과정에 따라 교차가 생기는 지, 덧붙이기가 생기는 지 결정됨

11.2 상동재조합 유전적 결과
- 염기서열에 의존적이지 않고, 어느 부분에도 상동재조합 발생 가능 (재조합 빈도는 유전자사이 거리에 비례)
- RecA : 가닥교환 단백질. 적절한 염기쌍을 형성
- 과열부위 : 재조합 빈도가 평균보다 높은 부위 (↔ 냉각부위)
1. 유전자 변환의 원인
- DNA 복제 AAaa (정상), Aaaa 혹은 AAAa (변환)
① A가 DSB 에 너무 가까우면 a가 대체 가능
② 이질 이중가닥 발생으로 염기쌍 불일치를 수선 (두 가닥 중 한 가닥을 임의 선택하여 수선)

참고문헌 : Watson. (2014). 왓슨 분자생물학(7판). (주)바이오사이언스출판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