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셉 작물생리학] Part 1 작물생리기초_4.무기양분 생리-2
- 미량원소 : Fe, Cl > Mn > B, Zn > Na > Cu, Mo
- 작물의 건물은 95%는 유기물, 5%는 무기물로 구성
➀ 질소
- C3: 보리, 밀, 귀리, 호밀등 온대성 화곡류는 N 높으면 성숙지연, 조고비율 저하, 도복
C4: 옥수수, 수수등 열대성 화곡류는 N 높으면 개화, 성숙이 빨라지고 질소 과잉해는 적다
- 논에서 NH4+를 더 잘 흡수. NH4+는 체내 농도가 높으면 아마이드로 만들어 다른 체내로 이동시켜 독성을 제거
➁ 인
- 뿌리에서 흡수. 대부분이 무기태로 액포에 저장.
- 영양생장기에 생장점, 마디에 축적. 생식생장기에 종자에 피틴으로 저장 (발아시 사용)
➂ 칼륨
- 토양중, 작물체 내 모두 양이온으로 존재
- 토양에 K이 너무 많으면 생장이 나빠지고 품질이 나빠진다
➃ 칼슘
- 원형질 교질의 수화성에 영향.
- 탄수화물 전류 촉진. 유기산과 중화작용
- Fe2+, Zn2+, K+, Mg+, Na+ 과 길항작용
- 과실저장성 증가
➄ 구리
- 플라스토시아닌 구성원소
-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 시토크롬C가 전자와 산소를 결합하도록 촉매 (마지막단계에서)
- 리그닌 생성, 콩과식물 질소고정
- 결핍 시, 볏과 분얼증가. 쌍떡잎식물은 곁눈 증가. 정단분열조직 괴사.
➅ 아연
- 옥신 생성 (IAA oxidase 는 몰리브덴, 옥신간접제어는 붕소가 관여)
- 과잉 시, 뿌리 억제
- pH가 높으면 Zn 결핍(P와 길항)
➆ 황
- S 요구도 : 볏과 < 콩과 < 배추과
- 함황비료는 pH를 낮추어 Fe 결핍을 방지해야함
- 아미노산 시스테인, 메티오닌, 비오틴의 구성성분
- 근류균 질소고정에 관여
➇ 나트륨
- C4와 CAM 식물의 필수 원소
➈ 붕소
- 세포 내 물질에 고정. 재분배가 잘 안됨.
- B결핍시 정아우세성 상실
➉ 망간
- 주로 분열조직으로 이동
- 과잉 시, 정아우세성 상실. 곁눈 발생
⑪ 철
- Fe가 과잉 되어도 벼의 뿌리 표면에 흡착된 산화철 피막은 지상부에서 내려온 O2에 의해 산화되어 불용태가 되어서 과잉해를 받지 않는다.
⑫ 규소
- 필수대량원소
- 외떡잎식물에서 잎몸 침적량이 많다
- 뿌리 표면 Fe, Mn을 산화시켜 불용태로 만들어 과잉해가 없도록 한다
- 각피증산을 줄인다
- 증산류에 따라 잎에서 규산젤 형태로 침적된다
⑬ 염소
- pH 조절. 말산을 대체하여 K+중화. 기공개폐에 관여
- Amylase 를 활성화
근류균 공중질소 고정 | S, Cu, Mo, B, Co |
광합성 직접 관계 | N, Mg, Fe, Cu, Mn (Zn 은 간접관계) |
엽록소 형성 관여 | Mn, S, Fe, Cu (Zn) |
SOD 구성 | Mn, Cu, Zn |
정아우세 상실 | Cu 결핍, B 결핍, Mn 과잉 |
체내 이동성 낮음(무거움) | Fe, B, Mn, S, Ca, Cu |
결핍시 엽맥 황백화 | 노엽: Mg / 어린잎: Mn, Fe |
- 엽면시비 사례
⋅Cu : 다년생 작물에 황산구리 엽면시비
⋅Zn : 과수에 엽면시비 (토양시비는 소용 없음)
⋅Mn : 채소와 감귤에 황백화 시, 황산망간 1~2%액을 1회 엽면시비
⋅Mo : 산성토에 엽면시비
⋅B : 과수나 채소에 붕사 or 붕산 0.5~1%액을 엽면시비
- 엽면시비 시 상승 통로는 도관, 상하 이동은 체관